카테고리 없음

가을 텃밭 작물 12종 재배 달력: 파종·정식·수확 타이밍 정리

myinfo5886 2025. 9. 10.

title image

 
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
가을 텃밭 작물 12종 재배 달력: 파종·정식·수확 타이밍 정리

가을이 오면 “지금 씨 뿌려도 되나?”, “모종은 언제 심지?” 같은 고민이 폭발하죠. 여름 장마와 폭염이 지나고 병해충 압력은 줄고, 일교차는 커져 잎채소 당도·식감이 확 살아나는 시기! 초보도 실패 확률이 낮아 가을 텃밭은 ‘가성비 시즌’이라 불립니다. 오늘은 실제 텃밭에서 많이 키우는 가을 재배 작물 12종을 골라, 가을 파종 작물·정식·수확 타이밍을 한 장에 정리했습니다. (중부 평야지 기준 / 남부는 1

2주 앞당기고, 산간·북부는 1

2주 늦추세요)


빠르게 보는 한눈표 (중부 기준)

범례
파종=씨뿌리기(직파/육묘), 정식=모종 옮겨심기, 수확=첫 수확 시작 시점(지속 수확은 ‘~’로 표기)

작물 파종(씨 뿌리기) 정식(모종 심기) 첫 수확
상추 8/25~9/15 (직파·육묘) 파종 23주 뒤 9/109/25 9/25~11월(절단·겉잎수확)
시금치 9/10~10/10 (직파) 10/25~12월(남부는 월동 후 봄까지)
쑥갓 8/25~9/20 (직파) 9/25~10/末
열무 8/25~9/20 (직파) 10/1010/末(3040일)
가을배추 파종 8/058/20(육묘 2530일) 8/30~9/10 10/25~11/末
가을무 8/25~9/10 (직파) 10/25~11/末
청경채 8/259/20 (육묘 1520일) 9/10~9/25 9/30~10/末
8/25~9/10 (직파) 9/2510/末(품종별 3045일)
케일 8/15~8/30(육묘 4주) 9/10~9/25 10/10~겨울(겉잎수확)
브로콜리 8/018/15(육묘 45주) 9/01~9/15 11월~12월(중앙화·곁순 지속)
가을감자 씨감자 8/15~8/30 11월 전후
쪽파 종구 심기 8/25~9/20 10월~12월(잎파)

※ 남부 해안/도서: 위 표에서 7

10일 앞당김. 고랭지/산간: 7

14일 늦춤. 초기 고온기는 차광·관수, 초서리는 부직포·터널 보온을 준비하세요.


왜 가을 재배가 쉬울까?

  • 병해충 압력↓: 고온다습이 끝나 관리가 수월. 배추·무도 진딧물·나방류 피해가 크게 줄어듭니다.
  • 맛·식감↑: 큰 일교차가 잎채소를 더 달고 아삭하게.
  • 물관리 간편: 여름 대비 증발량이 줄어 과습만 피하면 OK.

가을 파종 작물 12종, 이렇게 키우면 성공!

1) 상추

  • 파종: 8/25
    9/15, 1cm 간격 줄뿌림(발아적온 15
    20℃).
  • 정식: 본엽 4장, 포기 간격 20~25cm.
  • 수확: 9/末~11월, 겉잎 수확·절단수확 병행.
  • : 고온기엔 명암 30% 차광망 + 아침 물주기. 질소 과다면 쓴맛↑, 완효성 비료 소량 분시.

2) 시금치

  • 파종: 9/10~10/10 직파, 깊이 1.5cm, 줄 간격 15cm.
  • 수확: 10/末
    12월. 남부는 월동 재배로 이듬해 3
    4월까지 지속.
  • : 씨를 미지근한 물에 6
    8시간 불리면 발아 균일. pH 6.5
    7.0 선호(석회 소량).

3) 쑥갓

  • 파종: 8/25~9/20 얕게(0.5cm). 과밀 파종 금지.
  • 수확: 9/末
    10월. 10
    15cm에서 웃자람 전 절단.
  • : 쓴맛은 고온·건조에서 심해짐. 토양 수분 유지.

4) 열무

  • 파종: 8/25~9/20 줄 간격 15cm, 점파 후 솎음.
  • 수확: 30~40일(초록·아삭할 때).
  • : 살짝 자란 시점에 엽채비(질소 5~7%) 엽면시비 1회 효과적.

5) 가을배추

  • 파종/육묘: 8/05
    8/20, 육묘기간 25
    30일(충실한 모).
  • 정식: 8/30
    9/10, 포기 간격 40
    45cm.
  • 수확: 10/下~11월.
  • : 정식 직후 부직포+방충망 2주만 씌워도 결구 성공률↑. 칼슘 결핍(속썩음) 예방 위해 토양 pH 6.5 전후 유지.

6) 가을무

  • 파종: 8/25
    9/10, 점파 후 본잎 2
    3매에 한 포기 남기기(포기 간격 20~25cm).
  • 수확: 10/下~11월.
  • : 과습은 속이 비는 원인. 배수로 확보. 붕소 결핍 예방 위해 미량요소 1~2회 엽면시비.

7) 청경채

  • 파종: 8/25
    9/20(육묘 15
    20일).
  • 정식: 9/10~9/25, 포기 간격 20cm.
  • 수확: 9/末~10/末.
  • : 결구 전·후 2회에 나눠 소량 비료. 고온기 잎끝 마름은 일시 생리장해, 수분 스트레스 줄이기.

8) 갓

  • 파종: 8/25~9/10 직파.
  • 수확: 9/末
    10/末(김장용 큰 잎은 10
    11월).
  • : 매운맛 성분(글루코시놀레이트)↑=일교차+적절한 물 스트레스. 다만 시들음은 금물!

9) 케일

  • 파종/육묘: 8/15~8/30, 육묘 4주.
  • 정식: 9/10~9/25, 간격 40cm.
  • 수확: 10/10~월동 전까지 겉잎 지속.
  • : 응애·벼룩잎벌레는 초기에 방충망·점착트랩으로 예방. 첫 서리 후 맛이 달아짐.

10) 브로콜리

  • 파종/육묘: 8/01
    8/15, 육묘 30
    35일.
  • 정식: 9/01
    9/15, 간격 45
    50cm.
  • 수확: 11~12월 중앙화 → 곁순 연속 수확.
  • : 질소 과다=공 모양 커도 속이 솟음. 붕소·칼슘 결핍 주의. 멀칭으로 토양온도 안정화.

11) 가을감자

  • 씨감자 심기: 8/15~8/30(싹 튼 씨감자, 절단 시 재바르기).
  • 수확: 11월 전후(지상부 70% 고사 시).
  • : 배수·통풍 필수. 지온 25℃↑ 고온기에 뿌리 활착이 둔하므로 차광망과 저녁물 추천.

12) 쪽파

  • 심기: 8/25
    9/20, 종구 2
    3쪽씩 묶어 10cm 간격.
  • 수확: 10~12월 잎파 수확, 남기는 포기는 겨울나기 가능.
  • : 질소 과다=연약 도복. 얕게 심고 건조 시 생육 급정지하니 마른 바람엔 관수.

월별 가이드: 가을 작물 파종 시기부터 수확까지

  • 8월(하): 배추 육묘 시작, 무·열무·상추·쑥갓 첫 파종, 감자 심기. 고온 대비 차광·하루 1회 저녁 물.
  • 9월(상·중): 배추 정식 피크, 청경채·케일 정식, 브로콜리 정식. 시금치 본격 파종.
  • 10월: 잎채소 첫 전성기 수확. 고랭지·북부는 부직포·터널로 서리 대비.
  • 11월: 무·배추·브로콜리·감자 수확 마무리. 잎채소는 낮 수확·밤 보온.
  • 12월: 남부·도서 잔여 수확, 월동 품목(시금치·쪽파) 관리.

초보자를 위한 텃밭 셋업 체크리스트

  • 배수: 고랑 25~30cm, 멀칭 비닐로 토양온도·수분 안정화
  • 토양 pH: 6.0~6.8 권장(석회 소량, 과다 금지)
  • 비료: 밑거름은 완효성 위주, 웃거름은 결구 전·초장신장기 소량 분시
  • 보온/방충: 부직포, 소형 터널, 방충망 “초기 2주”가 효율 최강
  • 물주기: 오전보다 이른 아침/해질녘, 과습·토양떡 방지

품목별 ‘실패 줄이는 한 줄 요약’

  • 배추: 정식 직후 2주 방충망·부직포 → 결구까지 70% 성공 보장
  • : 과밀 파종 금지, 솎음은 본잎 2~3매 때 한 번에
  • 시금치: 파종 후 토양 건조 금지(발아 실패 원인 1위)
  • 상추: 고온기 파종은 명암 30% 차광망 필수
  • 브로콜리: 육묘 때 줄기 굵고 잎 두꺼운 모만 선발
  • 감자: 배수로 없는 밭 = 썩음. 비소식 전후 관수 강도 조절

가을 수확 작물 베스트 5 (맛·난이도·회전율 기준)

  1. 상추/쑥갓/청경채 – 3~4주면 첫 수확, 샐러드·쌈 상타
  2. 열무 – 40일 내외, 물김치·비빔면 찰떡
  3. 시금치 – 당도 높은 가을 시금치, 데침·무침 최고
  4. 가을무 – 수분·당도 좋아 깍두기·생채 맛이 다름
  5. 브로콜리 – 한 번 심어 중앙화+곁순까지 오래 즐김

자주 묻는 Q&A

Q1. 중부인데 9월 말에 배추를 이제 심어도 될까요?
A. 결구형 배추는 8/30~9/10 정식이 안전선입니다. 9월 말이면 소형·속성 품종으로 바꾸거나, 청경채·갓·상추처럼 회전율 빠른 잎채소로 전환하세요. 배추를 계속할 땐 소형 품종 + 부직포 보온으로 결구를 앞당기는 방법이 있습니다.

Q2. 가을 파종인데 벌레가 여전히 많아요. 약을 꼭 써야 하나요?
A. 초기 2주 방충망·부직포만 잘 씌워도 살충제 사용 빈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 유살충 비누/BT제는 유충 발생 시 국소 살포로 대응하세요. 무엇보다 정식 직후 빈틈 없는 커버가 핵심입니다.

Q3. 첫 서리 예보가 났어요. 어떤 작물부터 보호하죠?
A. 상추·청경채·갓·쑥갓·시금치 순으로 약합니다(브로콜리·케일은 비교적 강함). 저온민감 품목은 부직포 1겹 + 투명 비닐 터널로 밤만 보온하고, 낮에는 환기하세요.


마무리: 이번 주 바로 심어볼 가을 파종 작물 추천

  • 초보: 상추, 청경채, 쑥갓, 열무
  • 냉해 강한 만능: 시금치, 케일
  • 김장 라인업: 가을무, 가을배추
  • 가을 특선: 브로콜리(느리지만 알찬 수확), 가을감자(보람 큰 수확), 쪽파(꾸준한 잎파)

올가을, 달력 한 장만 믿고도 풍성한 가을 수확 작물을 집앞에서 수확해 보세요. 필요하면 지역에 맞춘 미세 조정표(남부/중부/산간)도 함께 정리해 드릴게요.
행운이 자라는 가을 텃밭, 올해는 꼭 ‘풍작’ 하세요! 🌱🥕🥬

댓글